Page 12 - SCELA REPORT 2022 1호 -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P. 12
3.
기존사업과 차이점/특징
노인복지현장은 돌봄이 부족한 어르신을 대상으로 기존의 결핍된 여가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거나 일방적이고 수혜적인 어르신 복지서비스의 한계를 안고 있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스마트 자가 모니터링과 자가관리능력 배양을 통해 자신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손쉽게 확인하여 스스로 관리하는 노하우를 습득하는 ‘습관화’를 통해 건강지지체계를 확보하고자 합니다. 어르신이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팔찌와 스마트폰 어플, 기관 내 회원관리 전산시스템과의 자동 동기화 를 통해, 건강데이터를 연동하여 건강관리팀의 실시간 건강관리가 가능하여 수동입력 방식의 데이터 관리에서 벗어날 수 있었고, 검사시간과 입력 시간 등의 단순과업에 소요되는 많은 시간이 줄어들고 기존의 데이터 미입력 시 누락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가장 큰 인적자원인 생활지원사가 서포터즈가 되어 스마트 폰과 인터넷 사용에 취약한 어르신을 대상으로 1:1 방문 스마트교육 및 홈트레이닝을 통해 쉽게 참여를 유도하며 건강을 관리할 수 있었습니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노인복지의 필수사업으로 자리가 잡혀가고 있으며 어르신들에게도 긍정적 인 인식이 제고 되고 있습니다. 초반 생활지원사 선생님을 지칭하던 호칭도 ‘아줌마’에서 ‘선생님’이라 는 호칭으로 서서히 바뀌어 가고 있으며 생활지원사는 ‘청소를 해주는 사람’에서 ‘노후를 건강하고 슬 기롭게 지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동반자’로 생각하면서 ‘도움을 주어서 고맙다’, ‘프로그램 참여로 평생 해보지 못한 것을 해봤다’라고 말씀해주심에 업무를 수행하며 지치고 감정이 소진되었던 상황을 극복 하게되는힘이되는것같습니다.
어르신들의 삶의 변화에 대한 감사함을 전달하는 인사로 얻게 되는 ‘감정’을 느끼며 회복할 수 있는게 사회복지사만의 특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며 어르신을 대면하고 현장에서 열의를 가지고 지금도 열심히 일하고 있는 모든 일선의 사회복지사 및 생활지원사님을 응원합니다.
슬기로운 스마트 건강생활+ 진행사진
스마트팔찌-인바디어플 동기화 디맨드어플-스트레스관리 홈트레이닝
홈트레이닝 TV연동(운동프로그램) 자가건강관리 일지 작성
4.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담당한 동료 사회복지사에게 하고싶은 말
12 13
SCELAReppoorr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