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 - SCELA REPORT 2022 1호 -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P. 14

 3.
기존사업과 차이점/특징
어르신 건강돌봄 동네모임은 어르신들이 평소 혼자 고민했던 건강문제, 건강증진활동들을 전문가 (의사, 약사, 재활치료사), 일련의 교육과정을 수료한 지역주민인 건강 리더, 그리고 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동료 어르신들과 함께 올바른 건강관리 지식을 습득하고, 그것을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감염확산으로 인해 사회적 활동과 관계가 단절된 어르신들이 단조로 운 생활에서 벗어나 회기별 다양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성취감과 자존감을 향상하고, 동료 어르신 과 건강 리더들과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통해 고독감에서 벗어나 사회·정서적 지지체계를 형성하 는 프로그램입니다.
어르신통합돌봄사업 동네모임의 경우 의료-복지-마을-공공이 함께 진행하고 있다는 점이 기존 유 사사업과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차별적인 부분입니다. 중랑건강공동체 출범 이후 2020년 10월부터 면목3·8동 지역을 중심으로 시범사업을 운행했습니다. 시범사업 중 어르신 통합돌봄사업을 위해서 마을(초록상상)에서는 지역주민이 지역의 어르신을 직접 돌볼 수 있도록 지역주민 역량강화사업인 건강리더 양성, 복지(면목종합사회복지관)에서는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할 어르신 모집, 장소 섭외, 프로그램 기획(전문가 연계, 특강) 및 모니터링을 진행했습니다. 의료(녹색병원)분야에서는 프로그 램 운영을 위해 전문가 연계 및 지역케어회의를 진행했습니다. 이렇게 3박자가 갖춰진 동네모임을 통 해 어르신들은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동네이웃(건강리더, 참여 어르신)을 만날 수 있었고, 더 나 아가서 동네 의사, 약사, 재활치료사와의 만남을 통해 자가 관리의 중요성을 익히는 시간이 되었습니 다. 또한 회기별 변화하는 어르신의 표정, 복장을 보면서 단순히 프로그램 참여 개념에서 벗어나 동네 모임을 통해 삶의 활력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시작한지 벌써 3년차입니다. 어르신 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가고 있기에 현장에서는 주어진 업무를 처리하는 것도 벅찬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수행인력 모두 노인 맞춤돌봄서비스의 목적을 잊지 않고 이런 변화와 노력의 움직임이 지역사회, 지역 내 어르신들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우리들은 현장에서 열심히 뛰어다니며 사업을 수행해야 할 것입니다. 어르신 복지 패러다임의 새로운 변화의 시작, 그리고 체계를 잡아가기 위한 우리의 노력들이 쌓여 차후 10년, 20 년 후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어르신 복지의 중요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해봅니다.
동네모임 진행사진
건강체조 통증을 줄이는 테이핑
전문가(재활치료사)특강 전문가(약사)특강
4.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담당한 동료 사회복지사에게 하고싶은 말
     114 1154
  SCELARReeppoortrt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