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 SCELA REPORT 2022 1호 -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P. 15
2020-2021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조사결과 요약표
부록
05
시행 첫해와
2021년의 비교, 변화는?
+2.6
+1.2
+3.2
83.6
2020
86.2
2021
86.5
2020
87.7
85.6
2021
82.4
2021 2020
2021년 각 부문별 특징
최근 7개년 종합만족도 변화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시기 포함)
· 만족도수준이가장높은상위3개항목:친절성,소통원활성,적시성 (3개 영역 모두 2020년 대비 2.6~2.8점 향상).
· 만족도수준이가장낮은하위3개항목:서비스선택권,상담충분성,정보제공성 (2020년 대비 서비스 선택권 7.1점, 상담충분성 4.4점, 정보제공성 2.4점 상승).
종합만족도
전반적만족도
요소만족도
+1.6
+5.4 +2.2
84.8
-0.2
-3.2
+2.6
79.4
87.0
2018
86.8
2019
83.6
86.2
77.8
2015
해석 시 주의사항
2016 2017 노인돌봄종합서비스
2020 노인맞춤돌봄서비스
2021
-15~19년도 노인돌봄종합서비스의 요소만족도는
6개 항목(적시성, 친절성, 전문성, 정보제공성, 요구사항 처리노력, 욕구충족도)을 가중치에 따라 평균한 값임.
-2020년도 노인돌봄맞춤서비스의 요소만족도는 총 12개 항목(적시성, 친절성, 전문성, 소통원활성, 정보제공성, 요구사항 처리노력, 절차간편성, 상담충분성, 욕구충족도, 서비스선택권, 이용시간선택권, 이용시간충분성)으로 산출하여 해석상 유의가 필요함.